본문 바로가기
반응형

죠죠/스레 - 일본1286

【죠죠 스레】나는 신, 너희들을 죠죠 세계에 환생시켜 주마. 1: 무명@죠죠 21/12/11(土) 00:34:27 그 전에 화살을 사용해서 스탠드가 발현되는지 확인하도록 하마. 1d100에서 1이 나오면 스탠드 유저. 그 이외는 일반인. 주사위 눈과 관계없이 모두가 죠죠 세계를 즐길 수 있도록 모리오초에 환생하게 하리라. 2: 무명@죠죠 21/12/11(土) 00:35:01 바늘구멍 같은 확률이군... dice1d100=49 (49) 4: 무명@죠죠 21/12/11(土) 00:36:40 빌어먹을! 모리오초라면 적어도 자기 방어 수단은 필요할거 아냐! dice1d100=97 (97) 5: 무명@죠죠 21/12/11(土) 00:39:09 뭐 디메리트는 없으니까 그나마 다행인가? dice1d100=2 (2) 7: 무명@죠죠 21/12/11(土) 00:40:00 >>5 .. 2022. 8. 4.
【죠죠 스레】죠죠 각 주인공의 승패를 계산해본 결과, 의외로 현실적인 숫자가 나오는구나... 1: 무명@죠죠 2014/01/21 17:10:22 죠나단(13승 1무 5패) 죠셉(15승 1무 5패) 죠타로(20승 1무 5패) 죠스케(14승 1무 3패) 죠르노(9승 2무 1패) 죠린(11승 3무 3패) 2: 무명@죠죠 2014/01/21 17:11:04 의외로 많이 지는구나 5: 무명@죠죠 2014/01/21 17:12:15 다시 읽으니 제법 지는 장면이 많군. 죠타로 같은 녀석은 줄곧 무쌍했던 이미지밖에 없었는데. 7: 무명@죠죠 2014/01/21 17:13:18 >>5 3부에서 죠타로가 진 적이 있었나? 9: 무명@죠죠 2014/01/21 17:14:45 >>5 져도 금방 동료가 대타로 나가서 이기니까, 상대적으로 그런 이미지가 적은 편이지 8: 무명@죠죠 2014/01/21 17:13:48 .. 2022. 8. 4.
【죠죠 스레】죠죠의 기묘한 모험 0부 다이어씨는 부서지지 않는다 1: 무명@죠죠 2012/12/30 14:39:06 ID:02w 이것은 죠나단이 태어나기 조금 전의 이야기-. 파문전사 다이어 씨가 고향마을에서 활과 화살(파문이 들어간 장미)에 의해 탄생한 파문사들이 일으키는 사건과 맞서 싸우는 서스펜스 호러 활극 2: 무명@죠죠 2012/12/30 14:40:26 이것은 기대된다 2: 무명@죠죠 2014/01/27 19:46 0부라니 ㅋㅋㅋㅋㅋㅋㅋㅋ 다이어도 죠죠도 없잖아 ㅋㅋㅋㅋㅋㅋㅋㅋㅋ 23: 무명@죠죠 2012/12/30 15:19:39 스레 제목에서 웃음 8: 무명@죠죠 2012/12/31 12:41:06 0부라면 2000년 전의 파문전사와 기둥의 사내와의 싸움 같은 내용이 들어가 있어야 되는 거 아니야? 3: 무명@죠죠 2012/12/30 14:41:42 M.. 2022. 8. 3.
【죠죠 스레】죠르노가 "이자식 무적인가?" 라고 말할 것 같은 다른 스탠드 1: 무명@죠죠 21/12/23(木) 13:35:28 옐로 템퍼런스 2: 무명@죠죠 21/12/23(木) 13:36:00 매지션즈 레드 3: 무명@죠죠 21/12/23(木) 13:36:23 센츄리 보이 4: 무명@죠죠 21/12/23(木) 13:36:52 크림 5: 무명@죠죠 21/12/23(木) 13:37:03 더 월드 6: 무명@죠죠 21/12/23(木) 13:43:43 아쿠아 네클레스 32: 무명@죠죠 21/12/23(木) 17:15:57 죠르노는 그냥 처음 보는 스탠드만 보면 뭐든 무적이라고 말하잖아! 38: 무명@죠죠 21/12/23(木) 22:05:05 >>37 뒤집어 말하면 어떤 상대도 결코 업신여기지 않는다는 것이다 39: 무명@죠죠 21/12/24(金) 07:44:57 >>38 아버지와는.. 2022. 8. 3.
【죠죠 스레】죠니 죠스타는 월드 디에고의 스탠드 능력을 너무 빨리 깨닫는 거 아니야? 1: 무명@죠죠 2021/05/10(月) 15:44:05 디에고랑 조금밖에 안 싸웠는데 능력 금방 깨닫는거 좀 이상하지 않아? 2: 무명@죠죠 2021/05/10(月) 15:44:57 시간계 스탠드랑 싸운 경험이 있으니까 그런 거 아닐까... 4: 무명@죠죠 2021年05月17日 18:05:24 뭐 죠니는 시간 되돌리는 녀석이랑 싸운 적도 있으니까 84: 무명@죠죠 2021/05/10(月) 16:21:20 폴나레프도 그렇지만, 한번 비슷한 능력과 싸우면 정체를 알아차리는 게 좀더 쉬워지긴 하겠지? 12: 무명@죠죠 2021年05月17日 18:10:40 「그런 능력이 있을지도」 라는 생각이 머리 한구석에 있지 않았을까? 대통령처럼 세계선 그 자체에 간섭하는 능력자도 있었고, 시간계 능력자랑도 한번 싸운 적.. 2022. 8. 2.
【죠죠 스레】너희들이 죠죠 외전이나 파생작품으로 보고 싶은 이야기가 있다면? 0: 무명@죠죠 20XX/XX/XX 99:99:99 스피드왜건이 석유왕이 되기까지의 이야기라던가 5: 무명@죠죠 20XX/XX/XX 99:99:99 죠타로가 아버지가 될 때까지의 이야기라던가 7: 무명@죠죠 20XX/XX/XX 99:99:99 코이치군과 유카코의 자식 이야기라던가 2: 무명@죠죠 20XX/XX/XX 99:99:99 VS JOJO 9: 무명@죠죠 20XX/XX/XX 99:99:99 쿠죠 사다오의 점심 20: 무명@죠죠 20XX/XX/XX 99:99:99 니지무라 오쿠야스의 매일의 식사 12: 무명@죠죠 20XX/XX/XX 99:99:99 더 북을 만화화 14: 무명@죠죠 20XX/XX/XX 99:99:99 나는 수플헤를 만화화해줬으면 좋겠다 23: 무명@죠죠 20XX/XX/XX 99:99:.. 2022. 8. 2.
【죠죠 스레】너희들이 스톤 오션을 좋아하는 1000가지 이유 1: 무명@죠죠 2011/12/14 12:20:56 재미있었어... 7: 무명@죠죠 2011/12/14 12:26:00 그 엔딩은 죠죠의 모든 부를 통틀어봐도 특히나 감동하게 되는 엔딩이지 4: 무명@죠죠 2011/12/14 12:23:46 엔딩에선 울어버렸다. 그 최강이었던 우리들의 죠타로가... 107: 무명@죠죠 2011/12/14 13:21:50 맨 마지막 엔딩에서 「고져스 아이린 연재하고 싶었어...」 라는 작가의 메시지만은 전해져 왔다 49: 무명@죠죠 2011/12/14 12:42:47 6부는 점프 연재당시의 담당자 코멘트까지 포함해서 읽어야 비로소 완전판이라고 할 수 있지. 종반의 난해한 전개와 이상한 센스의 편집자 코멘트... (※관련 스레: https://tactix.tistory.co.. 2022. 8. 1.
【죠죠 스레】"여긴 만원이다" 장면의 죠타로 말이야? 1: 무명@죠죠 22/03/14(月) 14:15:17 공포게임에서 시야 밖으로 벗어나는 순간에 있을 수 없는 속도로 고속이동하는 몬스터 같다 2: 무명@죠죠 22/03/14(月) 14:16:09 흐름과 기세로 읽으면 딱히 신경쓰이지 않지만 냉정해지고 나서 다시 생각하면 이해할 수 없는 장면 4: 무명@죠죠 2020年07月17日 18:51 오잉고 (DIO님 죄송합니다~!! 하지만 죠타로의 위협을 받아서 어쩔 수 없이 변신하고 있는 것뿐이에요~!) 1: 무명@죠죠 2020/07/17(金) 05:41:20 죠타로「여긴 만원이다... 도망칠 수는 없다...」 이 대사는 뭐였던걸까 결국... 8: 무명@죠죠 2020/07/17(金) 05:42:46 >>1 여기는 만원이니까 여기로 도망칠 수는 없다는 뜻이야 23:.. 2022. 8. 1.
【죠죠 스레】죠셉의 허밋 퍼플은 좀 더 강해도 되지 않았을까? 1: 무명@죠죠 2020/01/04(土) 00:24:46 뭐 충분히 좋은 스탠드긴 하지만, 솔직히 더 강했으면 좋았을 텐데... 하고 바라게 되는 부분도 있어. 73: 무명@죠죠 2020/01/04(土) 01:14:42 그치만 이런 자유자재로 내놓을 수 있는 가시덩굴이야말로 죠셉한테 제일 찰떡인 스탠드라고 생각한다 14: 무명@죠죠 2020/01/04(土) 00:48:54 저 가시덩굴은 첫등장 때까지만 해도 단순히 능력발동 순간의 비주얼 이펙트에 불과했던 것 같은데... 4: 무명@죠죠 2020/01/04(土) 00:30:59 파문+스탠드 콤보를 작중에서 좀더 활용했으면 좋았을 텐데. ...너무 센가? 23: 무명@죠죠 2020/01/04(土) 00:51:36 이거 젊었을때 나왔다면 「이것만 있으면 파문.. 2022. 7. 31.
반응형